Surprise Me!

[더뉴스-더쉬운경제] 'D의 공포' 우려 확산...과장인가 현실인가? / YTN

2019-09-11 6 Dailymotion

■ 진행 : 노종면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철진 경제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 0.0%, 역대 최저, 통계 작성 이후 54년 만에 처음 접하게 된 수치라고 합니다. 이 때문에 물가 하락으로 인한 경기침체,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언론에서는 D의 공포라는 표현으로 공포 심리를 자극합니다. 쉬어야 경제다, 더쉬운경제에서 D의 공포는 실체가 있는 것인지 과장된 것인지 따져보겠습니다. 정철진 평론가 자리하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물가라는 말 우리가 자주 써서 당연히 아는 것 같은데 사실 재화나 상품 이런 것들이 개개인별로 중요도가 다르잖아요. 어떻게 단일한 물가지수라는 걸 만들어내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그렇습니다. 우리가 소비자물가 상승률. 되게 편하게 말하지만 엄밀히 생각해 보면 어떻게 구했지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. 이거 하나하나 가격이 오르고 내렸는지를 어떻게 다 알겠습니까. 그래서 당국에서는, 우리뿐만이 아니라 외국도 마찬가지고요. <br /> <br />특정 중요한 핵심 품목들을 정합니다. 우리나라는 460가지 품목을 정해놓고. 또 품목만으로 그걸 일반적으로 평균 내느냐, 그렇지가 않죠. 우리 생활에도 밀접하고 산업적으로도 밀접하고 또 많이 쓰는 거에는 가중치를 더 많이 부여를 하게 되면서 큰 틀에서 국민들이 느낄 수 있는 체감 물가를 적합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이런 방식을 통해서 매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이라는 것을 밝히게 되는 것이죠. <br /> <br /> <br />디플레이션에 대해서 얘기를 나눠보고 싶은데 물가가 낮으면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건가요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맞습니다. 물가상승률이 떨어지게 되는 게 디플레이션. 오르면 인플레이션 이렇게 얘기하게 되는데 이론적으로 디플레이션이 나오기는 쉽지가 않죠. 왜냐하면 우리는 화폐를 계속 찍어내잖아요. <br /> <br />실질적으로 미국이 현재 달러가 기축통화라고 하는데 미국 정부가 지고 있는 부채가 20조 달러가 넘습니다. 그러니까 결과적으로 미국 정부는 20조 달러를 갚아야 돼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왜 그 정도까지 빚을 지게 됐는가. 달러를 찍어내서 그러는 거죠. 그러니까 돈을 계속 찍어내는 한 물가가 떨어질 수는 없고 오히려 오르는 게 정상이고요. <br /> <br /> <br />돈 가치가 떨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91115170580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